무섭지 않은 호랑이, 스라소니 Ⅱ
작성자관리자
작성일2025-01-07 13:24:28
조회수69
무섭지 않은 호랑이, 스라소니 Ⅱ
HK+ 사업단 HK연구교수 정상호
인간이 사냥을 유희로 여기면서 개나 매와 같은 동물을 사냥의 파트너로 활용하였는데 고려의 해동청이 특히 이름이 높다. 서아시아 지역에서는 일찍부터 치타를 길들여 사냥에 사용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아시아에서는 표범을 사냥에 사용했다는 기록이 많은데 표범 뿐만 아니라 스라소니 또한 사냥의 도우미로 활용되었다. 스라소니는 표범보다 작지만 똑같이 흉폭하고 무엇보다도 동유라시아에서 구할 수 있는 동물이라는 점에서 강점이 있었다.
스라소니를 사냥에 활용한 기록은 원대와 명대에 많이 발견된다. 몽골에서 스라소니는 사용한 사냥이 얼마나 활발했는지는 쿠빌라이 시기에 방문한 마르코 폴로의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마르코 폴로는 상도에 있는 쿠빌라이의 궁정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여러분은 대군주가 사냥에 뛰어나고 동물을 잘 잡는 표범을 많이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할 것이다. 그는 또한 짐승을 포획하도록 훈련되어 있고 사냥감을 추격하는 데에 아주 능한 스라소니도 엄청나게 많이 갖고 있다. 또한 많은 수의 사자도 기르고 있는데 그 몸집은 바빌로나이산보다 훨씬 더 크며, 흑 적 백색의 띠가 길이로 나 있어 가죽과 색깔이 매우 아름답다. 이들은 야생 멧돼지, 들소, 곰, 야생나귀, 숫사슴, 숫영양 및 다른 동물들을 포획하도록 조련되어 있다.
망갈라이의 궁전(=서안)을 떠나 서쪽으로 사흘 거리의 매우 아름다운 평원을 가다 보면 줄곧 많은 읍과 촌락들을 보게 된다. 그 주민들은 교역과 수공업으로 살아가며, 비단이 매우 많이 생산된다. 사흘 거리의 마지막에 쿤쿤(Cuncun) 지방에 속하는 거대한 산지와 계곡들을 만나게 된다. ... 여러분은 그곳에는 야생동물들이 풍부한 숲들이 많다는 사실을 알아야 할 것이다. 사자, 곰, 스라소니, 황갈색 사슴, 노루, 숫사슴 그리고 그 외의 짐승들이 매우 많기 때문에 그 지방 사람들은 그것을 포획하여 큰 수입을 올린다.
지난번 윤봉(尹鳳)이 나에게 말하기를, ‘병오년에 황제(皇帝)가 내사(內史)에게 사냥을 시켜 민간(民間)을 소요스럽게 하니, 어사(御史)가 들어가 아뢰기를, 「인주(人主)는 산이나 들에서 사는 짐승[野獸]을 먹지 않는 법이오니, 청컨대 내사(內史)에게 사냥을 시키지 말아 교만하고 방자하지 못하게 하소서.」 하니, 황제가 노하여 말하기를, 「네가 나에게 야수(野獸)를 먹지 말라고 하니, 야수는 바로 네 편인 게로구나」 하고, 곧 사나운 표범에게 던져서 물게 하였으되 죽지 않으니, 다시 칼로 베어 죽였다 합니다. ’고 하였다.
명나라 황제의 다섯 번째 궁전 안에 그들은 한 무리의 사자, 표범, 치타, 스라소니와 티벳 개를 기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