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유라시아 물품 문명 문화사

세계 물품학의 최고 거점 연구단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칼럼

column

[일반인 섹션]

안경,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어 문화가 되다 Ⅰ

  • 작성자관리자

    작성일2024-01-25 14:20:14

    조회수616

안경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어 문화가 되다 Ⅰ


고려대 역사교육과 변성현



  인간의 감각에서 시각이 차지하는 비중이 80%에 달할 만큼, ‘본다라는 행위는 인간의 삶에서 기본이자 핵심이다때문에 시력 개선을 위한 노력의 과정에서 안경은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게 해준 혁신적인 발명품이다안경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1306년 수도사 조르다노 다 리볼타가 "(안경이세상에서 가장 쓸모 있는 기술 중 하나이며 이것이 발명된 지 약 20년도 되지 않았다."라고 한 발언으로이를 볼 때 1280년대에 안경이 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15세기 유럽의 활판 인쇄술 발달과 함께 안경의 수요가 증대되었고안경은 대량으로 제작되어 유통됐다또 베네치아스페인아랍 등지에서 내구성과 투명도 면에서 우수한 유리를 생산해내며 안경 제작이 활성화됐다따라서 안경은 특정 지역의 발명품이라기보다는세계적인 교역망 속에서 정보와 기술이 오가며 발달한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그렇다면 안경은 어떻게 동아시아로 전래 및 확산되었고사람들 사이에서 어떤 의미와 상징성을 가졌을까?


Tommaso da Modena , Hugh of Saint-Cher 초상화(1352)


  중국의 안경 전래 시기는 명(선덕(宣德연간(1426~1435), 즉 15세기 초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장녕(張寧)은 선덕제(宣德帝)가 사여한 안경 하나서역의 상인에게서 말을 주고 구매한 안경 하나를 보았고당시 보기 드문 것들이라고 언급했다. 

  접때 경사에 있을 때 일찍이 지휘 호롱의 거처에서 그 아버지 종백공이 갖고 있던 선묘가 사여한 물건을 보았다. (중략근자에 참정 손경장의 거처에서 한 벌을 다시 보았다사용해보니 다시 그러했다경장은 좋은 말을 주고 서역의 상인에게 얻었는데 그 이름을 애체라고 들었다고 한다두 물건은 모두 세상에서 보기 드문 것이다

장녕, 『방주집(方洲集)

  또한 사마르칸트합밀천방국말라카 등지에서 명에 소수의 안경을 조공하였다는 기록이 있다다시 말해안경은 조공이라는 공적인 루트로 획득하여 최고 계층만 향유할 수 있거나고가의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제한적인 상품이었다.


  만력(萬曆연간(1573~1620) 마카오의 포르투갈인과 선교사들에 의해 안경과 관련 지식이 전파되면서 안경은 광동(廣東)에서 강남(江南)을 거쳐 북경(北京)으로 점차 확산됐다먼저 마카오와 가까운 광주(廣州)에서 안경문화가 먼저 발달하였고안경을 생업으로 하는 사람들과 전문 점포들이 등장하면서 안경가(眼鏡街)가 형성됐다복건(福建역시 여러 기록에 주요 물산으로 '안경'이 등장하고지역 문인들이 안경을 구매하여 사용했다.  

 

  청대(淸代)에는 강남에서 안경 제작이 시작됐고, "경사(京師)에서 팔린 것은 모두 소주(蘇州일대에서 만든 것"이라는 말이 돌 정도로 큰 확산세를 보였다. 18세기 강남 대부분 도시에 안경점이 생겨났고항주(杭州주변에는 방물장수들이 방문 판매하기도 했다청대 그려진 소주시경상업도책(蘇州市景商業圖冊)에는 익미재(益美齋)’라는 상호의 수정안경포안경 쓴 노인이 관찰되고방훈(放勛)의 회화집 태평환락도(太平歡樂圖)에서는 강남에서 바구니에 판매할 안경을 넣어 짊어진 상인이 묘사되어 있다.


  

소주시경상업도책과 태평환락도


  북경 역시 오랜 독서로 시력이 저하된 문인들 가운데 우수한 제품에 대한 정보 공유가 이루어지며 전국적으로 안경이 확산됐다또 명말부터 외국 상인들이 유입되고청대 다양한 안경점이 들어서는 등 공급도 확대됐다궁중에도 안경을 전문적으로 제작 및 수리하는 안경작(眼鏡作)’이라는 부서가 있었다이처럼 안경의 제작과 유통의 규모가 대폭 확대되고 활성화되면서 청대 안경문화는 다양해졌다먼저 안경의 형태안경다리의 소재안경집의 소재와 디자인이 세분화되었고지지(地支)나 연령을 기준으로 안경의 도수를 구분하여 개인에게 맞는 안경을 제공하려는 양상을 보였다. 

  중국에서는 자체적으로 수정(水晶)안경이 제작됐다유리 안경은 청초부터 유통량이 증가하며 저가에 보급됐지만이와 달리 중국에서는 수정으로 제작된 안경을 고급으로 여기고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조익(趙翼)은 중국의 수정안경이 기능 면에서 더 우월하다고 여겼다.


  이 물건(안경)은 전조 명대에 매우 귀중했다혹은 내부에서 사여하거나 혹은 고호로부터 구해 유력자가 아니면 능히 얻을 수 없었다지금은 천하에 두루 퍼져 있다대개 본래 외양으로부터 왔는데 모두 파려로 제작한 것이다뒤에 광동인이 그 방식을 모방해 수정으로 제작했는데 그 상품을 능가했다

조익해여총고(陔余叢考)

  안경 제작자들이 증가하고 안경 역시 다양화되면서높은 신분임을 과시할 수 있는 수단은 바로 재질과 디자인 등에서 차별성을 드러내는 것이었다또 꾸준한 수요와 함께 수정안경은 기술적으로도 진보하였는데청명한 날에는 흑정을흐린 날에는 수정과 은정을 쓴다거나렌즈 볼록의 높낮이에 따라 구분하여 근시경으로 활용하기도 했다.


  초기 수입품은 코안경 형태에볼록렌즈로 된 원시경의 비중이 높았다하지만 유럽에서 15세기 후반에 확산된 근시경이 17세기 중국에도 알려졌고고평가를 받으며 사용됐다명말 청초 섭몽주(葉夢珠)은 열세편(閱世編)에서 유리 안경이 저가에 대량으로 보급되는 상황에서 서양안경의 한 종류가 유리 재질이지만 수정안경 못지않게 선호되고 있다고 기록했다섭몽주는 이 안경이 유리가 테보다 두꺼운’ 렌즈즉 오목렌즈가 장착되어 있다고 했고은 2냥 정도의 고가라고 밝혔다근시경의 전파는 유럽의 안경이 수정안경보다 기능 면에서 뛰어나다는 인식이 형성되는 계기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