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학계의 문화 연구를 이끌어갈
문화 학술원의 소식을 확인해보세요.
Collection of books and materials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16 역사
저자라인하르트 코젤렉·크리스티안 마이어·오딜로 엥겔스·호르스트 권터
출판서해문집
작성자HK+관리자
작성일2021-06-10 17:08:24
조회수1281
책소개
‘역사’, 어떻게 정치ㆍ사회적 언어의 중심이 되고 역사적 기본개념이 되었나.
역사서술, 유럽 문화의 오랜 현상
18세기 말경에 이르러 정치ㆍ사회적 선도 개념으로 부상한 ‘역사’는 과거와 미래를 아우르면서 경험 공간과 기대 지평을 규율하는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지식ㆍ이야기KGKRANS로서의 역사서술은 유럽 문화의 오랜 현상이다. 이 책은 우리의 기억을 매개로 존재하는 이야기의 총합인 역사가 어떻게 해서 정치ㆍ사회적 언어의 중심이 되고 역사적 기본개념이 되었는지를 밝힌다.
근대 초기, 역사란 무엇인가를 탐구하다
이 책은 고대 ‘역사’ 관념으로부터 중세의 역사서술 분류와 사건으로서의 경험 구성 방식을 살피고, 근대 초기 인문주의의 발흥과 종교개혁을 거치며 형성된 역사 해석과 역사 이론을 검토하고, 시간과 공간 그리고 인간 속에서 전체 세계를 인식하는 포괄적 역사로서 ‘보편사’가 제기되는 과정을 제시한다. 특징적인 것은 합법성에 따라 판단되는 행위라는 최상의 관점에서 인간의 역사가 자연의 역사와 구별되고 올바른 행위의 범주를 제공한다는 기대가 담겼다는 점이다. 이처럼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물음 속에서 역사적 인식과 역사적 행위의 관계가 탐구된 것도 근대 초기의 특징이다.
근대 역사 개념의 변화 지속
한편 17세기 물리학의 진전은 세계관의 시간화와 역동화를 이끌면서 오히려 역사 개념의 발전을 저해했다. 역사이론가나 서술가들과 백과전서 학자들은 사실적인 것에 대한 이야기나 서술이라는 축소된 역사 개념을 옹호했다. 생산적 ‘과학’에 견주어 ‘역사’의 가치를 저평가한 데카르트는 역사를 포함한 과거의 지식이 과학에 봉사해야 한다고 입장에 섰다. 그럼에도 근대 역사 개념의 변화는 계속되었다. 파스칼은 인간의 기억은 각 개인과 집단에게 부단한 진보를 허락해준다는 전제에서 모든 시대의 전개 속에서 항상 존속하며 지속적으로 습득해가는 인간상을 고안했고, 비코는 역사 세계에 필요한 원리들이 우리 인간 정신의 구조들 속에서 발견될 수 있다고 확신했다.
근대 역사 개념, ‘역사서술’을 보편적 ‘역사’로 상상하면서 태동
인간은 역사 속에서 자기 자신을 파악하며, 자기 고유의 법칙에 따라 역사 그 자체를 창조해간다고 보면서 ‘역사’를 하나의 철학적 학문으로 만들었다. 집합단수를 사용해서 ‘인간 정신의 역사’를 역사적 탐구 대상으로 삼은 볼테르처럼, 근대 역사 개념은 개별 사건들의 기록인 복수의 ‘역사서술’을 보편적 ‘역사’로 상상하면서 태동했다. ‘역사’라는 새로운 유행어가 역사 운동의 포괄적인 통일성을 특징짓는 더 높은 추상성을 갖게 된 것이다. ‘역사 그 자체’, ‘역사 일반’은 근대에 하나의 표어로 기능했고, 개별 역사들을 안에 품은 ‘역사’는 독립된 주체로서 그 자체가 자기 고유의 활동을 하는 행위자가 되었다. 독일에서 ‘역사’는 프랑스의 ‘혁명’과 같은 위상을 갖게 되었다.
보편사를 넘어 세계사로
보편사를 넘어 세계사가 화두가 된 것도 근대의 특징이다. ‘진보’ 속에서 근대가 하나의 새로운 시대로 파악된 것처럼, 근대는 시공간의 총체성을 지닌 ‘세계사’ 속에서 보장된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서구 지성사에서 제기된 ‘역사’ 개념의 역사는 우리가 지금 사용하고 사고하는 ‘역사’에 대한 이해를 더욱 풍성하게 할 것이다.
저자소개
- 저자 : 라인하르트 코젤렉
독일을 대표하는 역사가이자 역사사상가이다. 저서로 《비판과 위기》, 《지나간 미래》, 《폭력적 죽음의 성상학》 등이 있다. 위대한 아웃사이더’, ‘18세기 철학자’, ‘홀로 서면서도 여러 경계에 걸친 인물’. 개념사 사전의 선구자 코젤렉을 달리 부르는 이름들이다. 그렇듯 그는 유럽 근대사 연구에서 빼어난 업적을 쌓았지만 스스로 ‘역사가 동업조합’의 울타리에 들지 않았다. 그는 늘 언어와 사실, 주관과 객체 사이의 중간지점에 서서 구조주의와 탈구조주의의 한계를 직시했다. 학문의 경계를 넘나들었던 그의 이력은 역사학을 전공하면서도 철학과 정치이론에 더 많이 기울었던 하이델베르크 대학 시절로 거슬러 오른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카를 뢰비트, 한스 게오르크 가다머, 마르틴 하이데거, 카를 슈미트 등이 청년 코젤렉을 키운 이론가들이다. 시간운동의 역사철학, 번역의 해석학, 정치적 인류학이 이들로부터 흘러나와 코젤렉의 개념사 이론에 녹아들었다. 그렇지만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의 골격을 이룬 ‘경험공간’과 ‘기대지평’은 그의 독창적인 인식체계다. 그 줄기에서 그는 사회적, 정치적 변화의 지표이면서 그 요소가 되는 개념의 세계를 발굴했다. “‘근대’라는 위기의 시대에 수많은 ‘투쟁개념들’이, 다가오는 역사적 운동을 이념적으로 선취하면서 실천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명제가 역사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던 것이다. 그는 그렇게 객관주의와 주관주의 사이의 해묵은 경계선에서 홀로 서면서 《비판과 위기KRITIK UND KRISE》(1959), 《개혁과 혁명 사이의 프로이센PREUSSEN ZWISCHEN REFORM UND REVOLUTION》(1967), 《지나간 미래VERGANGENE ZUKUNFT》(1979), 《시간의 층위ZEITSCHICHTEN》(2000), 《개념사BEGRIFFSGESCHICHTEN》(2006) 등의 저술을 남겼다.
- 저자 : 크리스티안 마이어
독일 고대역사가. 1981년에서 1997년 퇴임까지 독일 뮌헨대학교에서 고대사 교수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잘 알려진 《케사르와 아테네인》, 《세계사의 새로운 시작》 등이 있다.
- 저자 : 오딜로 엥겔스
중세사와 교회사를 전공한 독일 역사가로서, 쾰른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중세사 중에서 그가 주목할 성과를 나타낸 분야는 스페인 법제와 카탈루냐 지역 연구다. 이와 함께 그가 주력을 기울인 슈타우펜 왕조 연구 저서와 논문들은 지금까지도 가장 중요한 저작으로 인정받고 있다.
출판일
2021년 1월 27일
자료소장형태
단행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