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천자료의 보존과 접근, 이용자 편의를 위한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하겠습니다.
[연구논문] 明初 洪武 연간 琉球와의 국교 수립과 말 교역
작성자관리자
작성일2025-04-29 16:43:37
조회수29
◎ 저자명: 임경준(HK연구교수)
◎ 학술지: 동방학 제52집
◎ 발행처: 동양고전연구소
◎ 간행일: 2025.02.28.
명의 홍무제는 류큐와 국교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두 차례에 걸쳐 말 교역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홍무제가 왜 바다 건너 멀리 떨어진 류큐에서 말을 구매하려 했는지 그 배경과 목적을 검토하였다. 명조는 성립 초기에 화북 지역에서 원 제국과 군사적으로 대치했으며, 이후 이들을 몽골 초원으로 몰아내는 데 성공했으나 양측의 군사적 긴장은 여전히 지속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명 조정은 군사용 말의 확보를 위해 적극적인 양마 정책을 펼칠 수밖에 없었다. 명과 류큐 간의 외교 관계가 성립된 홍무 연간에는 두 차례에 걸친 말 교역이 이루어졌으며, 명 조정은 이에 대한 대가로 가치 있는 물품을 지급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명 조정이 류큐에서 구입한 말이 실제로 군사용으로 사용되었는지에 대해 논쟁이 이어져 왔다. 특히 류큐산 말의 군사적 사용을 부정하는 학자들은 류큐산 말이 체구가 작아 군마로 부적합하다는 점을 주요 근거로 삼아왔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고고학적 증거와 일치하지 않으며, 지형과 환경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말이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무엇보다도 홍무 연간에 이루어진 류큐산 말의 거래 가격은 명 조정이 류큐를 상당히 예우했음을 시사한다. 고려, 조선, 여진과의 말 교역에서 지급된 대가와 비교해 보면, 류큐산 말에 대한 거래 가격은 다른 지역의 말보다 현저히 높게 책정되었다. 몽골과의 군사적 대립이 심화되던 시기에 류큐에 대한 명 조정의 이러한 특혜는 군사적 목적을 고려하지 않고는 설명하기 어렵다.
During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with the Ryukyu Kingdom, the Hongwu Emperor attempted horse trade twice. This study explores why he sought horses from distant Ryukyu. In early Ming, ongoing conflicts with Yuan remnants in northern China led the dynasty to prioritize horse procurement for military use. Amid these tensions, newly established ties with Ryukyu enabled two horse trades, with the Ming offering valuable goods in exchange. Scholars debate whether these horses were used militarily. Skeptics argue that Ryukyuan horses were too small for war, but archaeological evidence does not strongly support this claim. It also overlooks the possibility of different horses being used depending on terrain and environment. Notably, the high transaction prices of Ryukyuan horses suggest the Ming court regarded Ryukyu with considerable respect. A comparison with Goryeo, Joseon, and Jurchen horse trade shows that Ryukyuan horses commanded significantly higher prices. Given escalating conflicts with the Mongols, such preferential treatment is difficult to explain without considering military objec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