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와 문화를 한눈에 볼수있는 공간

원천자료의 보존과 접근, 이용자 편의를 위한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하겠습니다.

연구성과

Research achievement

[연구논문] 민국시대 장기(瘴氣) 인식과 기나나무의 재배

  • 작성자관리자

    작성일2025-02-27 17:03:50

    조회수60



민국시대 장기(瘴氣) 인식과 기나나무의 재배



◎ 저자명: 김현선(HK연구교수)

◎ 학술지: 생태환경과 역사 13

◎ 발행처: 한국생태환경사학회

◎ 간행일: 2024.12.31.




본 연구는 민국시대 과학적인 방법으로 장기(瘴氣)의 실체를 규명하려 했던 조사 과정을 검토하고, 그에 따라 확립된 장기에 대한 인식이 중국의 기나나무 재배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의 남방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장기는 역사적으로 인구, 경제, 문화, 군사 등 여러 분야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 장기는 시대에 따라 그 의미가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민국시대까지도 개념과 실체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그런데, 1935년 장기 조사단이 구이저우(貴州)와 광시(廣西), 윈난(雲南) 지역으로 가서 과학적인 방법으로 장기의 실체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장기에 의해 발생하는 장병(瘴病)이 악성 학질(瘧疾)의 일종이라고 확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신문과 잡지에 대대적으로 보도하였으며, 이는 이후 연구자들의 장기 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나아가 언론에서는 기나나무의 재배 시도와 성공을 장기 조사단의 연구 결과와 연결하여 보도하였다. 이후 사회 각계각층의 인사들은 장기와 연관하여 기나나무 재배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기나나무를 더 넓은 지역에 재배해야 한다는 요구가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investigate the traditional perception of miasma(瘴氣) in the Early Republican China and the scientific approach to identify its substance, and to examine the process of cinchona cultivation based on this. Widely distributed in China's southern regions, miasma has historically had a profound impact on many areas, including population, economy, culture, and military. Miasma is a complex concept related to environmental, medical, and cultural factors, and its concept and reality were not clearly identified until the Early Republican China. In 1935, the miasma investigation team went to Guizhou(貴州), Guangxi(廣西), and Yunnan(雲南) regions to investigate the miasma using scientific methods. Through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Zhang disease (瘴病) caused by miasma is a type of malaria(瘧疾), and the results were widely report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Furthermore, the newspapers extensively reported on the attempts and successes in cultivating cinchona, linking them to the miasma investigation team's findings. Afterwards,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inchona cultivation in relation to miasma, and demands began to arise for cinchona to be cultivated over a wider area.